10주년 된 빅밸류, 데이터테크 기업 도약 노린다

빅밸류(공동 대표 구름, 이병욱)가 창립 10주년을 맞아 20일 ‘AI(인공지능) 시대의 핵심 인프라로 자리 잡을 데이터테크(Data Tech) 기업’으로의 도약을 선언했다.

빅밸류는 AI 대전환 흐름 속에서 데이터테크를 AI가 역량을 발휘할 수 있게 하는 데이터 인프라 산업으로 정의했다. 현실 세계의 정보를 가장 빠르게 AI에 연결하는 데이터 구독 모델을 중심으로 해당 분야를 이끌어 나갈 계획을 밝혔다.

빅밸류이 만드는 AI 머신 리더블 데이터(Machine-Readable)는 국내 주요 은행, 테크기업, 정부기관의 비즈니스 위험 요소 판단과 자원 배분에 쓰인다. 올해는 데이터의 판매처를 중소기업까지 넓히는 데 집중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지난 1월 출시한 빅밸류플랫폼을 통해 IT 인프라와 예산이 부족한 중소기업이 데이터를 구독 활용할 수 있도록 진입 장벽을 낮추겠다는 취지다.

빅밸류플랫폼은 1000종 이상의 공간 인구 상업 데이터가 담긴 ‘빅밸류 데이터 허브’를 실시간 조회, 분석에 활용할 수 있는 SaaS(서비스형소프트웨어)다. 이용자 누구나 손쉽게 비즈니스 인사이트를 확보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데이터 수집 가공 생산 과정이 AI 에이전트 기반으로 99% 자동화되어 있다.

LLM(대형언어모델)과 연동 가능한 MCP(Model Context Protocol)와 프롬프트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챗GPT, 클로드(Claude) 등 글로벌 LLM은 물론, 오픈소스 모델과도 유연하게 연결되어 AI가 데이터를 기반으로 신뢰도 높은 응답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한다고 이 회사 측은 설명했다. 해당 서비스는 빅밸류 홈페이지 PC 버전에서 ‘빅밸류 시작하기‘ 버튼을 클릭하면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빅밸류는 2022년 이후 연평균 110% 이상의 매출 성장률(CAGR)을 기록 중이다. 향후 3년간두 자릿수 후반대의 고성장을 이어가는 것이 목표다. 또한 외부 투자 유치를 통해 기술력과 시장성을 한층 강화하고, IPO 등 대규모 자금을 조달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구름 빅밸류 대표는 “빅밸류의 데이터 구독 서비스는 AI가 읽는 실시간 뉴스와 같다. 시장의 최신 동향을 알고 있는 AI가 의사결정을 해야 한다”며, “AI 시대에 최적화된 데이터 흐름을 제공하는 데이터테크 기술로 다양한 산업의 AI 전환을 지원하고 궁극적으로 AI의 필수재가 되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글. 바이라인네트워크
<남혜현 기자> smilla@byline.network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