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썸, ‘AI 조교 응답률 90%’ 대학 솔루션 사용성과 공개
AI 기반 학습 플랫폼 클라썸(대표 이채린, 최유진)이 15일 대학 솔루션 사용성을 담은 인포그래픽을 공개했다. 회사는 AI를 핵심 성장 동력으로 학습경험플랫폼(LXP), 커넥트(AI 학사 상담 시스템) 등을 제공 중이다.
클라썸 LXP는 기존 학습관리시스템(LMS)의 한계를 뛰어넘어 학습 관리부터 AI 조교 등 AI 기반 학습 솔루션을 결합해 학생 개개인에게 맞춤형 학습 지원을 해준다. AI 조교는 교수자가 업로드한 자료를 기반으로 대화 데이터를 통합 분석해 학생들의 질문에 대해 신속하게 답한다. 여기에 답변 출처와 함께 답변 관련 자료 영역의 페이지와 위치까지 표시해 학습자의 이해도를 높여준다. 실제 도입 대학에선 AI 조교 응답률이 90%에 달했다.
배화여대는 2024년 클라썸 LXP를 전면 도입해 학생 중심의 수요자 맞춤형 교육 환경을 조성했다. 조사 결과, 게시글과 댓글 중 학생 비중은 각각 76.2%, 85.9%이었다. 학생들은 “AI 조교가 빠르게 답해주니 검색에 시간을 허비하지 않고 효율적으로 학습할 수 있었다”고 언급했다.
한림대 소프트웨어학부 김선정 교수는 “AI 조교가 누적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반복된 질문에 즉시 답해줘 학생들이 교수에게만 의존하지 않았다”며, “학생들이 AI로 함께 학습해 조교를 얻은 셈”이라고 평가했다.
클라썸 커넥트는 AI를 활용해 학사 상담을 혁신하고 있다. 클라썸 커넥트는 학생들의 학사 관련 질문에 내부 학사 규정을 기반으로 24시간 신속하고 정확한 맞춤형 답변을 제공한다. API 연동을 통해 학사 규정, 공지, FAQ 등 대규모 데이터를 자동으로 업데이트하고 실시간 반영한다. 담당자 답변도 데이터로 저장해 FAQ로 활용할 수 있어 시간이 지날수록 AI의 답변 품질과 정확도가 향상된다.
실제로 울산대학교는 클라썸 커넥트 도입 이후 담당자가 직전 3개년(22~24년) 동기 대비 28% 더 많은 문의를 처리했다. 챗봇 사용 시엔 미해결 문의가 많아 전화번호 문의 비중이 컸지만, 커넥트 사용 후엔 전화번호 문의 비중이 5.5%밖에 차지하지 않았다.
클라썸 최유진 대표는 “클라썸은 AI를 활용해 학습 효과를 높이고, 학습과 운영의 효율성을 향상하는 등 대학 현장의 AX 실현을 돕고 있다”며, “앞으로 코드와 수식 질문에 AI가 답하는 공학 교육에 특화된 AI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미래 교육의 지평을 더욱 넓힐 예정”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한편, 클라썸은 서울대, KAIST, 연세대, 국민대, 한양대, 인하대, 울산대, 한림대, 동의대, 대구한의대, 계명대, 배화여대, 대구대, 가톨릭상지대, 서울신학대, 건양대 등 전국 대학에서 이용하고 있으며, 전 세계 32개국 대학, 기업, 기관에서 사용 중이다.
글. 바이라인네트워크
<이대호 기자>ldhdd@byline.network
AI 기반 학습 플랫폼 클라썸(대표 이채린, 최유진)이 15일 대학 솔루션 사용성을 담은 인포그래픽을 공개했다. 회사는 AI를 핵심 성장 동력으로 학습경험플랫폼(LXP), 커넥트(AI 학사 상담 시스템) 등을 제공 중이다.
클라썸 LXP는 기존 학습관리시스템(LMS)의 한계를 뛰어넘어 학습 관리부터 AI 조교 등 AI 기반 학습 솔루션을 결합해 학생 개개인에게 맞춤형 학습 지원을 해준다. AI 조교는 교수자가 업로드한 자료를 기반으로 대화 데이터를 통합 분석해 학생들의 질문에 대해 신속하게 답한다. 여기에 답변 출처와 함께 답변 관련 자료 영역의 페이지와 위치까지 표시해 학습자의 이해도를 높여준다. 실제 도입 대학에선 AI 조교 응답률이 90%에 달했다.
배화여대는 2024년 클라썸 LXP를 전면 도입해 학생 중심의 수요자 맞춤형 교육 환경을 조성했다. 조사 결과, 게시글과 댓글 중 학생 비중은 각각 76.2%, 85.9%이었다. 학생들은 “AI 조교가 빠르게 답해주니 검색에 시간을 허비하지 않고 효율적으로 학습할 수 있었다”고 언급했다.
한림대 소프트웨어학부 김선정 교수는 “AI 조교가 누적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반복된 질문에 즉시 답해줘 학생들이 교수에게만 의존하지 않았다”며, “학생들이 AI로 함께 학습해 조교를 얻은 셈”이라고 평가했다.
클라썸 커넥트는 AI를 활용해 학사 상담을 혁신하고 있다. 클라썸 커넥트는 학생들의 학사 관련 질문에 내부 학사 규정을 기반으로 24시간 신속하고 정확한 맞춤형 답변을 제공한다. API 연동을 통해 학사 규정, 공지, FAQ 등 대규모 데이터를 자동으로 업데이트하고 실시간 반영한다. 담당자 답변도 데이터로 저장해 FAQ로 활용할 수 있어 시간이 지날수록 AI의 답변 품질과 정확도가 향상된다.
실제로 울산대학교는 클라썸 커넥트 도입 이후 담당자가 직전 3개년(22~24년) 동기 대비 28% 더 많은 문의를 처리했다. 챗봇 사용 시엔 미해결 문의가 많아 전화번호 문의 비중이 컸지만, 커넥트 사용 후엔 전화번호 문의 비중이 5.5%밖에 차지하지 않았다.
클라썸 최유진 대표는 “클라썸은 AI를 활용해 학습 효과를 높이고, 학습과 운영의 효율성을 향상하는 등 대학 현장의 AX 실현을 돕고 있다”며, “앞으로 코드와 수식 질문에 AI가 답하는 공학 교육에 특화된 AI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미래 교육의 지평을 더욱 넓힐 예정”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한편, 클라썸은 서울대, KAIST, 연세대, 국민대, 한양대, 인하대, 울산대, 한림대, 동의대, 대구한의대, 계명대, 배화여대, 대구대, 가톨릭상지대, 서울신학대, 건양대 등 전국 대학에서 이용하고 있으며, 전 세계 32개국 대학, 기업, 기관에서 사용 중이다.
글. 바이라인네트워크
<이대호 기자>ldhdd@byline.net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