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원, 소프트웨어 공급망 대상 북한 해킹 확산 경고

국가정보원은 최근 북한 해킹조직이 소프트웨어(SW) 공급망 공격을 이용한 고도화된 해킹 수법으로 주요 국가기관·첨단기업의 기밀자료·핵심기술을 절취하고 있는 사실을 포착했다며 관련업계에 주의를 당부했다.

4일 국정원에 따르면, 북한 해킹조직은 ▲IT용역업체 해킹을 통한 기관·기업 우회 침투 ▲IT솔루션·SW 취약점을 악용한 침투 ▲보안관리 허점을 노린 해킹과 같은 3가지 공격유형을 활용해 자료 탈취에 주력하고 있다.

고객사 접속 권한이 있는 IT 용역업체의 보안이 취약하면 국가기관·기업의 보안체계가 잘 갖춰져 있더라도 피해에 고스란히 노출될 수밖에 없다.

실제로 북한 해킹조직은 작년 10월 지자체 전산망 유지관리 업체인 A사 직원 이메일을 해킹해 메일 안에 보관 중이던 서버 접속계정을 탈취한 후 지자체 전산망 원격관리 서버에 무단 접속, 행정자료 절취를 시도하기도 했다.

국정원은 “피해 예방을 위해서 IT용역업체 직원들에 대한 보안교육은 물론 외부 접속경로 차단 및 인증수단 강화 등 보안수준을 더 높여야 한다”고 밝혔다.

내부자료 통합 관리·유통을 위해 사용되는 IT솔루션을 대상으로 한 단 한 번의 공격이 대량의 내부 정보 유출로 이어지기도 한다.

북한 해킹조직은 이번달 방산협력업체 D사의 전자결재·의사소통용 ‘그룹웨어’의 보안상 허점을 악용해 악성코드를 설치, 직원 이메일 및 네트워크 구성도 등 내부자료 절취도 시도했다. 이같은 시도를 사전에 차단하기 위해서는 SW 보안패치, 인터넷을 통한 관리자계정 접속 금지, 주기적인 취약점 점검 등의 대책이 필요하다는 게 국정원의 설명이다.

아울러 ‘유추하기 쉬운 초기 패스워드 사용’, ‘부주의에 의한 해킹메일 열람’ 등 기관·기업의 부실한 보안관리는 해킹으로 직결된다.

북한 해킹조직은 올 2월 모바일 신분 확인업체 E사의 관리자 페이지를 인터넷을 통해 쉽게 접속할 수 있는 점을 노려, 보안검색엔진 등을 활용해 해당 취약점을 면밀 분석해 관리자 권한으로 무단 접속했다.

국정원은 “내부 보안관리 강화를 위해 기본 보안수칙을 체크리스트로 만들어 크로스체크함으로써 문제점을 개선하고, 보안교육을 통해 직원들의 보안의식을 제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윤오준 국정원 3차장은 “SW 공급망 공격은 광범위한 피해로 이어질 수 있어 IT 공급자와 사용자 모두 경각심을 가져야 한다”며 “정부 차원에서도 작년 9월 가동한 ‘정부합동 공급망 보안 태스크포스(TF)’를 통해 2027년까지 ‘SW공급망 보안체계’를 제도화하는 등 공급망 보안 선진화를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SW공급망 보안이란, SW 개발·공급·사용 등 전주기에 걸쳐 발생하는 사이버보안 체계를 말한다.

글. 바이라인네트워크
<이유지 기자>yjlee@byline.network

[컨퍼런스] AI 에이전트와 지능형 인터페이스 시대

◎ 일시 : 2025년 3월 27일 오후 12:30 ~
◎ 장소 : 서울 강남구 테헤란로7길 22 ST Center (과학기술컨벤션센터) 지하 1층 대회의실 2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