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성AI ‘아마존 Q’로 클라우드 시장 지키려는 AWS

클라우드 시장 1위 아마존웹서비스(AWS)가 경쟁사에 비해 다소 잠잠했던 생성 인공지능(AI) 분야에 힘을 주는 모습이다. 기업의 비즈니스 목적에 맞춘 생성 AI 솔루션을 통해 시장 지키기에 나섰다.

AWS는 애저(Azure)를 제공하는 마이크로소프트, 구글클라우드플랫폼(GCP)을 제공하는 구글과 글로벌 클라우드 시장에서 경쟁하고 있다. 이들 기업이 생성AI 기술로 영향력 강화를 추진하는 가운데 AWS는 새로운 생성AI 기술을 내세워 시장을 지킨다는 포부다.

양승도 AWS코리아 솔루션즈 아키텍트 리더는 23일 테크 브리핑을 통해 자사의 생성AI 기술을 중점 소개했다. (사진=AWS코리아)

AWS코리아는 23일 서울 강남구 사무실에서 테크 브리핑을 열고 자사의 클라우드 서비스와 함께 새로운 AI 솔루션과 추가 기능을 소개했다.

AWS는 기업용 AI 챗봇 ‘아마존(Amazone) Q’로 엔터프라이즈 시장을 겨냥한다. 업무 파일 검색이나 데이터 시각화 등 기업 업무에 생성AI를 활용할 수 있는 솔루션이다. 자연어 명령에 답변을 제공하는 챗GPT와 비슷하지만, 비즈니스 분야별로 카테고리를 세분화한 게 특징이다.

기업용 어시스턴트 ‘아마존Q 포 비즈니스(for Business)’는 데이터를 활용한 보고서 작성이나 업무 가이드 작성 등 회사 업무를 돕는데 초점을 맞췄다. 자연어로 명령을 넣으면 기업 내부 데이터를 바탕으로 해당 작업을 수행해준다. 어떤 문서가 있다고 치면, 자연어 명령을 통해 안에 있는 내용을 요약하거나 업무 일지 등을 짜는 형태다.

개발자용 ‘아마존 Q 포 빌더스(for Builders)’는 코드 추천이나 컴퓨팅 리소스 진단, 코드 버전 업그레이드 등 IT 개발 업무를 지원하는 솔루션이다. 또한 AWS의 클라우드 기능과 아키텍처에 대한 조언도 제공하는 등 IT 개발자 업무에 특화했다.

올해 출시할 ‘아마존 Q 인 서플라이체인(in SupplyChain)’과 ‘아마존 Q 인 퀵사이트(in Quicksight)’도 눈에 띈다. 아마존Q 인 서플라이 체인은 재고 확인과 주문 규모, 배송 상황 등 기업의 제품 제작과 공급 절차 전반을 관리하는 솔루션이다. 마찬가지로 자연어 명령을 통해 제품 수급과정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양승도 AWS코리아 솔루션즈 아키텍트 리더는 “배송 지연 이유나 현재 재고 상황 등 공급망과 관련한 질의를 자연어로 넣어 원하는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는 구조”라고 말했다.

아마존 Q 인 퀵사이트(in QuickSight)는 데이터 분석 업무에 유용하다. 기업 데이터와 연동해 기업 의사결정을 위한 인사이트 보고서를 만들어주거나, 표나 그래프 등으로 결과물을 시각화해 빠른 데이터 분석을 돕는다.

다양한 AI 기반 모델, 새로운 AI칩 지원

다양한 기반 모델(FM)을 제공하는 ‘베드록(Bedrock)’의 기능도 향상됐다. 베드록은 AWS가 자체 개발한 거대언어모델(LLM)인 타이탄을 비롯해 AI21 랩스의 ‘쥬라기-2(Jurassic-2)’, 앤트로픽사의 ‘클로드(Claude)2’, 메타의 ‘라마(LLaMa)2’, 스태빌리티AI의 ‘스테이블디퓨전(Stable Diffusion)’ 등 다른 생성AI 기술을 접목해 기업 업무를 지원하는 솔루션이다. 아마존 Q도 베드록에 포함된 LLM들을 활용한다.

지난해 4월 출시됐던 베드록은 클로드 2.1 버전을 새로 접목해 잘못된 응답 비율을 50% 줄였다는 게 AWS의 설명이다. 또한 자체 LLM인 타이탄에는 요약·카피라이팅 기능을 추가했다.

사용한 FM의 응답 결과에 대한 모델 평가 리포트도 제공한다. 양승도 리더는 “해당 FM이 내놓은 답변이 정확했는지, 잘못된 답변 비율은 어느 정도였는지 등 평가 결과를 제공한다”고 설명했다.

이미지 생성 기능도 강화했다. 자체 LLM 타이탄을 활용한 ‘타이탄 이미지 제너레이터(Image Generator)’도 프리뷰 버전으로 출시했다. 다른 이미지 생성AI 모델에 비해 프롬프트 반영 능력이 좋고, 기업 데이터를 접목해 브랜드 스타일에 맞는 맞춤형 이미지를 만들 수 있다.

AWS는 고성능 컴퓨팅 파워 기술을 확보해 클라우드 시장에서의 영향력을 강화한다. AI 모델 개발을 지원하는 인프라를 자사 클라우드로 제공하고 더 많은 고객을 끌어모으는 전략이다.  엔비디아와 돈독한 파트너십 관계를 바탕으로 새로운 AI칩인 GH200을 먼저 확보해 AWS 환경에서 제공할 방침이다.

이 밖에도 자체 기술로 만든 ARM 아키텍처 기반 서버 칩 ‘그래비톤(Graviton)4’를 출시할 예정이다. 양승도 리더는 “그래비톤 4는 데이터베이스 애플리케이션에 접목할 경우 40%의 속도 증가 효과가 있다”고 설명했다.

글. 바이라인네트워크
<이진호 기자>jhlee26@byline.network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