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도 생성AI 모델 개발…‘삼성 가우스’ 첫 공개

삼성전자가 자체 개발한 생성 인공지능(AI) 모델을 공개했다. 기업 내부 업무에 활용하는 한편 향후 자사 제품에도 단계적으로 탑재할 계획이다.

삼성전자는 8일 삼성전자 서울R&D캠퍼스에서 ‘삼성 AI 포럼 2023’ 둘째 날 행사를 개최했다. 삼성전자의 AI 연구 인력을 비롯해 학계와 업계 전문가 150여명이 참석한 행사에서 삼성리서치에서 개발한 생성AI 모델 ‘삼성 가우스(Samsung Gauss) ’가 처음으로 공개됐다.

8일 열린 ‘삼성 AI 포럼 2023’ 둘째 날 행사에서 김대현 부사장이 삼성 가우스를 소개하고 있다. (사진=삼성전자)

삼성 가우스는 정규분포 이론을 정립한 천재 수학자 칼 프리드리히 가우스(Carl Friedrich Gauss)로부터 영감을 얻은 생성AI 모델이다.

삼성전자는 “삼성 가우스를 활용해 회사 내 업무 혁신을 추진하고, 나아가 사람들의 일상에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생성 AI 기술을 발전시킬 계획”이라고 전했다.

삼성 가우스는 머신러닝 기술을 기반으로 ▲텍스트 생성 언어 모델(Samsung Gauss Language) ▲코드 생성 모델(Samsung Gauss Code) ▲이미지를 생성 모델(Samsung Gauss Image) 등 3가지 모델로 구성했다.

언어 모델은 클라우드와 온디바이스에서 ▲메일 작성 ▲문서 요약 ▲번역 등 업무를 더 쉽고 빠르게 처리할 수 있게 해준다는 게 회사의 설명이다.

또한 코드 모델을 기반으로 개발한 AI 코딩 어시스턴트 ‘코드아이(code.i)’는 사내 소프트웨어 개발에 최적화해 개발자들이 쉽고 빠르게 코딩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대화형 인터페이스를 통해 코드 설명이나 테스트 케이스 생성 등의 서비스를 받을 수도 있다.

이미지 모델은 사진이나 그림 등 창의적인 이미지를 손쉽게 만들고 기존 이미지를 원하는 대로 바꿀 수 있도록 도와준다. 또한 저해상도 이미지의 고해상도 전환도 쉽다.

삼성전자는 “삼성리서치가 개발한 다양한 온디바이스 AI 기술이 탑재된 제품을 사용할 경우 소비자들은 개인정보 전송 없이 기기 제어, 문장 요약, 문법 교정 등을 더 쉽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삼성전자는 이러한 생성형 AI 모델들을 다양한 제품에 단계적으로 탑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빠르면 내년 출시할 갤럭시S 24에 탑재될 거란 전망도 나온다. 이 같은 전망이 현실화되면 스마트폰에서 그림을 자유롭게 만들고 문자 메시지 내용을 요약하거나 번역하는 등 모바일기기 사용 경험도 대폭 강화될 수 있다.

김대현 삼성리서치 글로벌AI센터 부센터장(부사장)은 환영사에서 “삼성전자는 AI 기술 개발뿐만 아니라 AI 활용시 보안 및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AI 윤리 원칙을 정해 이를 준수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생성 AI에 대한 지속적 연구를 통해 소비자의 경험 가치를 높여 나갈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삼성전자는 2017년부터 매년 SAIT(옛 종합기술원)와 삼성리서치 주관으로 삼성 AI포럼을 개최해 AI 핵심기술 발전 방향과 혁신을 논의하고 AI 리더십을 강화하고 있다.

글. 바이라인네트워크
<이진호 기자>jhlee26@byline.network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