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TTA, AI 신뢰성 검·인증 체계 추진…“안정성 강화 기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31일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와 함께 민간자율 방식의 인공지능(AI) 신뢰성 검·인증 체계와 향후 운영 방안 설명회를 개최했다.

설명회에는 초거대 AI 기업을 비롯한 국내 AI 기업과 정부사업 수행기관 관계자 120여명이 참석했다. 앞서 과기정통부는 2020년 AI 윤리기준을 수립한 바 있다. 이후 윤리기준을 자율적으로 준수·점검하기 위한 자율점검표와 개발안내서 등을 마련했다. 이달에는 개발안내서를 기반으로 AI 제품과 서비스의 신뢰성 준수 여부를 평가할 수 있는 검·인증체계를 수립했다.

AI 신뢰성 검·인증은 전문성 있는 제3자 기관이 수행한다. 15개의 신뢰성 요구사항과 67개의 검증항목을 통해 제품과 서비스의 신뢰성 확보 여부를 시험하고 인증한다. 이번 설명회에서 TTA는 민간자율 인공지능 신뢰성 검·인증 체계에 대한 상세한 절차와 함께 시범 운영에 대한 향후 계획을 발표했다.

이어 네이버클라우드와 LG AI연구원, 제네시스랩은 AI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한 활동 소개와 함께 신뢰성 검·인증의 의의 및 필요성을 강조했다. 법무법인 세종은 현재 추진하고자 하는 검·인증 체계에서 고려해야 할 법적 쟁점들에 대해 발표했다.

박윤규 과기정통부 제2차관은 “AI 신뢰성 검·인증은 규제가 아니라 오히려 국내의 우수한 제품과 서비스가 전 세계로 뻗어나갈 수 있는 기반이 될 것”이라고 강조하면서 “이 자리를 계기로 기업이 자발적으로 AI 윤리를 준수하고 안전성을 강화해 나가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글. 바이라인네트워크
<이진호 기자>jhlee26@byline.network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