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티투닷 차량 기능안전 개발 프로세스, 국제 표준 인증 획득

포티투닷의 자율주행 기술이 글로벌 기능안전 표준에 부합하다고 개발 프로세스를 인정받았다. 국제 표준 인증을 획득한 것인데, 이를 계기로 포티투닷 측은 “소프트웨어정의차량(SDV) 부분 선도기업으로 경쟁력을 강화하겠다”는 목표를 공개했다.

포티투닷은 자율주행 차량과 관련한 시스템,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개발 등 기능안전 개발 프로세스에 대해 글로벌 인증기관인 DNV로부터 ISO 26262 인증을 획득했다고 25일 밝혔다. ISO 26262는 차량의 전기·전자 시스템 오류로 인한 사고 방지를 위해 2011년 ISO에서 제정한 자동차 기능 안전 국제 규격이다.

ISO 26262 기능안전 국제 표준에서 ASIL(automotive safety integrity level)은 자동차 전장부품의 고장이나 오작동에 대한 위험 수준을 뜻한다. 이중에서도 D등급은 가장 엄격한 수준의 개발 절차와 요구 사항을 필요로 한다.

포티투닷 측은 이번  국제 표준 획득의 의의를 “기능안전 개발 프로세스 전반에 걸쳐 높은 수준의 역량을 인정받은 동시에 자동차 기능안전 최고 수준인 ASIL D 등급의 전장 제품을 자체적으로 개발할 수 있다는 공신력을 확보하게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포티투닷 측에 따르면 최근 자율주행, 커넥티비티, ADAS 등 다양한 기능이 차량에 탑재되면서 복잡성이 커지고 수많은 연산과 데이터 처리량도 늘어나면서, 이를 충분히 뒷받침할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시스템의 안전성 기준 또한 엄격해지고 있다. 완성차 OEM도 전장 제품의 개발 단계부터 ASIL 수준에 부합하는 절차와 요구사항을 준수하도록 점차 강제하고 있다고 이 회사 측은 설명했다.

포티투닷은 지난 1년 새 사이버보안 ISO 21434와 정보보호 ISO 27001 등 국제 표준을 획득했다. 전동화 흐름과 함께 갈수록 차량이 연결되고 소프트웨어의 중요성이 높아지는 SDV 시대에 보안 체계를 마련하고 시스템 고장으로 발생 가능한 위험을 사전에 방지하는 프로세스를 구축했다는 의미가 있다.

송창현 포티투닷 대표는 “연이어 획득한 ISO 국제표준 인증은 특정 제품이 아닌 전체 개발 프로세스 속에서 미래차 기능 안전 및 강력한 보안 체계에 대한 인증”이라면서 “향후 제품 개발 과정에서 기능 안전 프로세스를 준수해 안전과 신뢰가 중심이 되는 SDV 기반의 EV를 만드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글. 바이라인네트워크
<남혜현 기자> smilla@byline.network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