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 OS 빅 서 설치 문제, 해외 사용자 반응과 해결책

맥 OS의 빅 서 설치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애플 포럼 페이지 , 맥루머스 포럼, 레딧 등에서 각종 사례를 쉽게 찾아볼 수 있을 정도다. 특정 기기에서만 주로 문제가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실제로는 다른 맥에서도 비슷한 문제가 발생한다. 우선 맥 OS 빅 서를 설치할 수 있는 기기는 다음과 같다.

  • MacBook Air (2013 이상)
  • MacBook Pro (2013 Late 이상)
  • Mac Pro (2013 이상)
  • Mac mini (2014 이상)
  • iMac (2014 이상)
  • iMac Pro (모든 모델)
  • 12 형 MacBook (2015 이상)

이중 벽돌 현상(프리징)이 발생하고 있는 기기는 주로 2013~2014 맥북 프로다. 비슷한 하드웨어를 사용하는 2013~2014 맥북 에어의 사례도 종종 등장한다. 그러나 포럼을 보면 2015 맥북 프로, 2018 맥북 프로 Late 등 다양한 제품이 검은 화면에서 멈추는 사태가 발생한다. 특히 2019 아이맥, 2019 맥북 프로 등 최신의 제품에서까지 검은 화면이 발생하고 있다. 2018년형 맥의 경우 네트워크 연결 끊김과 외부 모니터 깜빡임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고 한다.

그러나 2013~2014년형 제품을 제외하면 대부분 NVRAM 재설정, SMC 재설정, 복구 모드 등을 통해 재설치에 성공했다는 평가가 다수다. 그러나 2013~2014 맥북의 경우 재설치에 성공했다는 평이 많지 않다.

알려진 바대로 대부분의 문제는 I/O 보드에서 발생한다. IO보드는 와이파이, 블루투스, USB연결, 썬더볼트, 3.5파이 이어폰 잭 등의 기능이 한 데 몰려있는 부품이다. 따라서 해당 부품이 고장 나면 무선 연결을 할 수 없고 심지어 유선 인터넷 연결도 할 수 없다. 맥북 프로 13년형의 제품은 이더넷 포트를 탑재하지 않고 썬더볼트-이더넷 포트 단자를 물려서 사용하기 때문이다. 또한, 썬더볼트를 사용하는 모니터 연결도 할 수 없고 이어폰을 연결할 수도 없다. 따라서 이 부품이 망가지면 인터넷 노트북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없다.

원인에 대해서 정확히 밝혀지지는 않았으나 다른 연식의 제품들에서도 모니터 연결이 불가능하고, 와이파이와 블루투스가 끊기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즉, 다른 제품에서도 I/O보드 문제가 발생한다. 그러나 다른 연한 제품의 경우 재설치에 성공했다는 평이 많다.

프리징 문제를 제외하고도 게이트웨이 시간 초과, 백업 문제, CPU 사용량 과다. 메일 검색 미작동, 높은 배터리 소모 등의 문제도 있다. 이중 배터리나 CPU 사용량 과다의 경우 빅 서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보기는 어려우므로 스포트라이트 색인 생성(파일 카테고라이징)가 끝나는 만 하루 동안 기다리는 것이 좋다.

애플은 이 문제를 인지하고 있고 대응책도 제시하고 있는 상황이지만 소프트웨어 문제가 아닌 하드웨어 문제로 정의하고 있다. 국내에서 벌어진 것과 동일한 사례가 애플 포럼 사이트에도 있다. 사용자 Mohamedgamea는 “애플 지원 담당자는 운영체제 문제가 아니라고 말했으며, 하드웨어에 문제가 있고 어떤 소프트웨어도 부품에 손상을 줄 수 없다고 말했다(the apple support guy told me clearly it is a hardware issue not an operating system issue and no software issue can cause any damage to any hardware piece)”고 밝혔다. 따라서 해외에서나 국내에서 동일한 지침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 I/O 보드 문제 발생 시 애플스토어 공식 서비스를 받으려면 커뮤니티에 화두가 된 바대로 수리 비용이 발생한다.
  • 만약 현재 검은 화면으로 진입하고 어떠한 해결책이 없다면 아래의 방법으로 수리를 시도해볼 수는 있다. 다만 모든 맥에서 이 방법이 성공하지는 않는다. 주의할 점은 I/O보드에 연결된 모든 것들, 즉 이어폰, SD카드, 외장모니터 등을 해제하고 시도하는 것이 좋다는 것이다.
  • 맥의 전원 버튼을 10초 이상 길게 눌렀다 해제한다. 맥이 켜져 있으면 꺼진다.
  • 모든 디스플레이 및 USB 액세서리를 포함하여 Mac에서 모든 외부 장비를 분리하고 SDXC 카드 슬롯에 삽입된 카드를 제거한다. 이후 전원 버튼을 눌러 맥을 켠다.
  • 문제가 지속되면 SMC를 재설정한다.
  • 문제가 지속되면 NVRAM 또는 PRAM을 재설정한다.

만약 빅 서를 내려받을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없다면 아래의 방법을 사용한다. 다만 이 방법은 어려우므로 OS 지식이 없다면 추천하지 않는다.

  • 대용량 외장 하드 드라이브를 준비하고 윈도우 PC에서 exFAT로 포맷한다.
  • 인터넷 복구를 사용한다 (시작 중 Command + Option + R 길게 누르기).
  • 디스크 유틸리티로 이동하여 외장 하드 드라이브를 APFS로 다시 포맷한다.
  • 디스크 유틸리티를 종료하고 외장 드라이브에 빅 서를 다시 설치한다.
  • 외장 드라이브에서 맥북을 부팅한다. 메시지가 표시되면 내부 드라이브에서 외부 드라이브로 모든 것을 마이그레이션한다.
  • 모든 것이 외부 드라이브로 정상적으로 전송되었는지 확인한다. 디스크 유틸리티로 이동하여 내부 드라이브를 완전히 지운다.
  • 재부팅하고 인터넷 복구로 돌아간다.
  • 내부 드라이브에 빅 서를 다시 설치한다.
  • 재부팅하고 외부 드라이브의 모든 것을 내부 드라이브로 다시 마이그레이션한다.

가장 중요한 해결법은 이것이다. 대책이 나올 때까지 설치하지 말자.

글. 바이라인네트워크
<이종철 기자> jude@byline.network

첫 댓글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