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대상 웹·애플리케이션 취약점 공격 최근 가장 많이 발생”

최근 기업을 대상으로 가장 많이 발생한 사이버공격 유형으로 웹 기반 공격과 애플리케이션 취약점 공격이 꼽혔다.

안랩(대표 권치중)이 24일 발표한 ‘2019년 3분기(7~9월) 사이버공격 동향’에 따르면, ‘웹기반 공격’이 44%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이어 ‘애플리케이션 취약점 공격(31%)’, ‘취약점 탐지 공격(7%)’이 뒤를 이었다.

안랩 보안관제서비스에서 탐지, 차단해 대응한 총 110만여건의 공격 시도를 분석한 결과다.

웹기반 공격’은 공격자가 기업의 웹사이트 등을 대상으로 한 ‘웹 취약점 공격’, ‘SQL 인젝션 공격’, ‘악성파일 게시판 업로드’ 등을 전개하는 공격방식이다. 이와 함께 조직 내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의 취약점을 노리는 ‘애플리케이션 취약점 공격’과 취약점 탐지 툴을 이용해 시스템에서 찾은 취약점을 이용하는 ‘취약점 탐지 공격’도 공격자들이 자주 시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 보안담당자는 주요 서비스가 이뤄지고 외부 접근이 용이한 웹기반 서비스나 웹사이트 등 웹기반 자산과 다양한 취약점에 대해 철저한 보안 관리를 해야한다

특이사항으로 9월 공격 유형별 통계에서는 보안장비 ‘설정 오류’를 노린 공격(1.6%)이 처음으로 10위에 진입하기도 했다. ‘설정 오류’는 프로그램이나 시스템의 취약점이 아니라 보안담당자의 실수(휴먼 에러)를 노린 공격으로, 이를 줄이기 위해서는 외부 전문가의 지속적인 점검이 필요하다.

산업군별 분류에서는 공격 대상의 비중 간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격 대상이 된 산업군별 비율로는 ‘미디어’ 분야에 대한 공격이 전체의 16%로 가장 높았고, ‘유통(10%)’, ‘법률·세무(9%)’, ‘게임(8%)’, ‘닷컴(IT)(8%)’, ‘보험(8%)‘, ‘공공(8%)’ 분야 순으로 나타났다.

공격자가 특정 산업군에 집중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기업과 산업군을 대상으로 다각적인 보안위협을 전개하고 있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기업 보안담당자는 언제든 내가 속한 조직이 타깃이 될 수 있음을 유념하고 핵심자산과 보안수준을 파악해 보안조치를 지속해야 한다고 안랩은 권고했다.

안랩 서비스사업부를 총괄하는 임영선 상무는 “통계를 보면 공격자는 산업군을 가리지 않고 웹, 애플리케이션 등 다양한 취약점을 노려 공격을 시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기업 보안담당자는 독자적 혹은 보안서비스 전문업체와 협력해 상시적으로 보안조치를 실행·점검하고 임직원 보안교육을 진행하는 등 ‘보안위협 대응의 일상화’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안랩 보안관제 서비스’는 안랩의 ‘보안관제센터(SOC)’ 침해대응(CERT) 전문 인력이 고객의 중요 IT 자산에 대해 ▲보안위협 모니터링 및 대응 ▲취약점 정보 모니터링·수집 ▲보안위협 이벤트 정밀 상관 분석 ▲고객 최적화 보안정책 설정 및 운영 등 전문 보안관리를 제공하는 서비스다.

글. 바이라인네트워크
<이유지 기자>yjlee@byline.network

관련 글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