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인포섹, 보안관제플랫폼 기술 오픈소스로 공개

SK인포섹이 보안관제플랫폼 정규화 기술을 오픈소스 소프트웨어(OSS)로 공개한다. 보안관제플랫폼에 포함된 빅데이터 엔진도 추가 공개할 계획이다.

회사 핵심 자산인 보안 플랫폼의 주요 기술을 단계적으로 오픈해 향후 누구나 사용할 수 있는 공유 인프라로 발전시켜 나간다는 목표다.

SK인포섹(대표 안희철)은 자체 개발한 보안관제플랫폼 ‘시큐디움(Secudium)’에 포함된 정규화 기술을 OSS로 공개한다고 17일 밝혔다.

‘시큐디움’은 고객의 보안시스템에서 탐지한 이상징후를 분석해, 공격 여부를 판별하고 대응하는 보안 기능을 제공한다. 빅데이터, 위협 인텔리전스, 머신러닝 등 정보의 수집 단계부터 분석, 대응에 이르는 다양한 기술을 내재화했다.

SK인포섹이 OSS로 공개하는 것은 시큐디움의 ‘정규화 기술’이다.

보안 분야에서 정규화란, 보안 시스템이 탐지한 이상징후를 보안관제플랫폼에서 분석할 수 있도록 가공해주는 것을 말한다.

회사측에 따르면, 방화벽, 웹방화벽, 침입탐지시스템 등 보안시스템마다 이상징후를 탐지하는 영역도 다르고, 수집 정보도 다르다. 또 그 정보를 표현하는 방식도 제조사마다 다르다. 때문에 이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정규화 기술로 제 각각의 정보를 조합하고, 일정한 규칙의 시스템 언어로 만드는 선결과정이 꼭 필요하다. 스타트업 보안기업이나 관제센터를 운영하고 있는 기업 등 자체적으로 사이버공격을 분석하는 곳에서 정규화 기술 활용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SK인포섹 관계자는 “정규화 기술은 다양한 보안시스템에 대한 이해와 지식이 필요해 보안업계 내에서도 기술 진입장벽이 높은 편에 속한다”라면서, “이번 시도는 국내에서 가장 많은 종류의 보안시스템 로그 처리 기술을 확보한 SK인포섹의 정규화 기술을 공개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에 공개된 기술은 ‘깃 허브’ 웹사이트(https://github.com/SOCLabs/Adenium)에서 확인, 사용할 수 있다. 이 정규화 기술의 오픈소스명은 사막의 장미를 뜻하는 ‘아데니움(Adenium)’이다.

SK인포섹은 올해 연말 시큐디움의 빅데이터 엔진도 OSS로 공개한다. 장기적으로는 누구나 참여해 위협 정보와 방어 기술, 지식 등을 주고받을 수 있는 포털 사이트 형태의 공유 플랫폼 개발도 계획하고 있다.

지능형 공격이 늘면서 보안기업, 관련기관들 간 위협 분석과 대응 협력은 점점 중요해지고 있다. SK인포섹은 자사가 확보하고 있는 주요 기술을 먼저 공개해 전향적인 공유와 협력 생태계를 만들겠다는 방침이다. 새로운 생태계 안에서 지식과 기술 공유가 이뤄질 수 있는 여건을 만들고, 이에 동참하는 기업들과 비즈니스 융합을 통해 더 큰 경제적 가치를 창출하겠다는 설명이다.

안희철 SK인포섹 대표는 “보안의 역할이나, 보안이 개인과 사회, 나아가 국가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면 보안기업은 공공성을 갖고 있다”면서 “보안산업이 협력과 공유의 생태계를 만들어 갈 수 있을 때, 경제적 이익뿐만 아니라 사회적으로 가치를 줄 수 있는 산업으로 성장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글. 바이라인네트워크
<이유지 기자>yjlee@byline.network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