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수, 새로운 DRM 기술 발표…“소스코드 보안까지 지킨다”

파수는 소스코드의 개발부터 유통까지 모든 과정에서 지적재산권(IP)를 보호해 소스코드 유출에 따른 보안 위협을 막는 새로운 문서보호(DRM) 기술을 7일 발표했다.

파수에 따르면 이번에 발표한 소스코드 보안 기술은 자사 문서보안 솔루션 ‘파수 엔터프라이즈 DRM(이하 FED)’의 확장형으로 지원되며,  FED 5.9 버전부터 적용 가능하다.

FED는 문서가 생성되는 시점부터 자동 암호화하고 권한에 따라 열람, 편집, 인쇄 등을 제한하며 사용내역 추적과관리 기능을 제공하는 문서보안 솔루션이다.

파수는 높은 수요에도 불구하고 응용프로그램이 다양해 보안 적용이 어려웠던 CAD 파일에도 DRM을 도입해 도면 보안을 강화했다. 이번에 소스코드로까지 DRM 적용을 확장하면서 모든 콘텐츠 종류와 디바이스, 환경에서의 보안을 지원하게 됐다는 게 회사의 설명이다.

파수 관계자는 “그간 소스코드에 보안을 적용하려는 시도는 있었지만 편집기나 컴파일러 외에도 형상관리 프로그램이 다양하고, 환경에 따라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 또한 각기 달라 일괄적인 보안 지원이 어려웠다”면서 “이번에 발표한 소스코드 DRM은 이러한 기존의 문제를 모두 해결한 기술”이라고 강조했다.

해당 기술은 암호화를 유지한 상태로 개발 및 편집이 가능하며 보안성을 유지하면서도 속도 저하를 최소화한 것이 특징이다. 자바, C/C++, C# 등의 다양한 개발언어와 인텔리J(IntelliJ), 비주얼 스튜디오(Visual Studio) 등을 포함한 편집기, 컴파일러, 비교·머지툴 등 다양한 환경과 프로그램에서 모든 소스코드를 실시간으로 자동 암호화한다.

또한 깃허브 데스크톱(GitHub Desktop)을 포함한 다양한 형상관리 솔루션과 연동돼 소스코드 유통 과정에서도 암호화를 유지한다. 파일 사용시 속도 저하가 거의 없고 사용권한 통제 및 사용이력 기능 등도 제공한다.

조규곤 파수 대표는 “파수가 선보이는 소스코드 보안은 강력한 DRM이 소스코드 유통 전 과정을 안전하게 보호하면서 사용성 또한 뛰어나다”며 “수요는 높지만 해결책이 마땅찮았던 글로벌 소스코드 보안 시장을 새롭게 개척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글. 바이라인네트워크
<이진호 기자>jhlee26@byline.network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