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료) [바비네] AI 기반 비즈니스 모델 스터디 & 네트워킹 – AI 대중화에 도전하는 기업들
₩440,000
품절
한 번도 안 들은 사람은 있어도 한 번만 들은 사람은 없다는, 바비네:바이라인 비즈니스 네트워크가 돌아왔습니다.
새 시즌 주제는.
“AI 대중화에 도전하는 기업들”입니다.
막연해 보였던 인공지능의 활용에 대한 답이, 이제는 산업별로 윤곽을 드러내는 것 같습니다. 새로운 사업 기회도 생기고 또 이를 과감히 파고 드는 기업과 제품, 서비스도 등장하고 있는데요. 이번 시즌에서는 새 기회에 도전하고 있는, 국내를 대표하는 AI기업인을 중심으로 강연 준비했습니다.
이번 시즌의 특징은 무엇보다 현재 벌어지고 있는 AI산업 현장의 생생한 목소리를 들으실 수 있다는 겁니다. 이 기회를 통해, 손에 잡히는 AI산업의 현재와 미래를 그려보시길 바랍니다.
시즌에 마련된 좌석은 총 40석입니다.
소수로 진행되는 모임은 강사님을 포함한 다양한 수강자분들과 개별적인 네트워킹이 가능하다는 매력이 있습니다. 소수 좌석인 만큼 조기 마감될 수 있습니다. 빠른 신청 부탁드립니다.
강연 주제, 발표자, 일시
주제 | 발표자 | 일시 | |
---|---|---|---|
1회 | AI 스타트업 비즈니스 모델 사례 – 국내편 | 양상환 리더 (네이버 D2SF) | 10월 11일 수요일 오후 7시 ~ 9시 30분 |
2회 | AI 대중화의 미래전략 | 이활석 CTO (업스테이지) | 10월 25일 수요일 오후 7시 ~ 9시 30분 |
3회 | Part 1. “AI 경량화에 도전합니다” Part 2. 작은 스타트업의 AI비즈니스 생존전략 | Part 1. 김형준 대표 (스퀴즈비츠) Part 2. 윤성호 대표 (마키나락스) | 11월 22일 수요일 오후 7시 ~ 9시 30분 |
4회 | Part 1. 해외 VC의 주목을 받는 AI기업들의 특징 Part 2. AI가 만든 소리의 세계 | Part 1. 정지훈 박사 (K2G 테크펀드) Part 2. 전상배 CSO (가우디오랩) | 12월 13일 수요일 오후 7시 ~ 9시 30분 |
타임 테이블
19:00 ~ 19:50 (50분) | 발표 1 |
19:50 ~ 20:00 (10분) | 중간 휴식 |
20:00 ~ 20:50 (50분) | 발표 2 |
20:50 ~ 21:10 (20분) | Q&A |
신청방법
총 4회, 세미나 참여 비용은 부가세 포함 44만원입니다.
- 기존에 바비네에 참석한 경험이 있는 분들께는 20% 특별할인 혜택이 있습니다. 재구매 고객은 byline@byline.network로 연락 주시기 바랍니다.
- 소수의 인원으로 진행되는 만큼, 회차별 결제는 지원하지 않습니다. 다만 티켓이 남은 경우 향후 진행될 회차 전체를 구매하실 수는 있습니다. 이 경우 가격은 ‘남은 회차 x 11만원’입니다.
강연과 강연자에 대해 소개합니다
양상환 리더
네이버 D2SF
1회차.
Gen AI가 일 년도 안 돼 바꾼 우리의 일상!
국내에도 Gen AI 관련 수많은 스타트업들이 등장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업 중 눈여겨볼 만한 곳은 어디인지, 또 Gen AI가 스타트업에 가져다준 기회와 위기는 무엇인지, 앞으로 다가올 미래의 모습은 어떨지, 이러한 궁금증에 관해 이야기합니다.
양상환 리더는, 네이버에서 기술 스타트업 투자 및 육성 프로그램 총괄을 담당하며 수백 기업 이상에 팁테크 투자를 진행했으며, 현재는 네이버가 만든 기술 스타트업 엑셀러레이터 D2 Startup Factory 의 수장입니다.
이활석 CTO
업스테이지
2회차.
AI 대중화의 미래전략
챗GPT와 OCR(광학문자인식기술)기술을 더해 카카오톡에 론칭한 ‘아숙업(Askup)’은 단기간 100만명 사용자를 모으면서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는 생성형 AI서비스입니다. “누구나 쉽게 도입할 수 있는 AI를 제공한다.”는 모토 아래, 본격적인 AI 대중화를 표방하며 다양한 서비스를 선보이고 있는 업스테이지의 성장전략에 대해 들어봅니다.
이활석 CTO는, 네이버에서 인공지능 번역기 파파고 개발의 주역으로, OCR (이미지를 텍스트로 변환하는 AI 기술) 분야를 선도하며 AI업계의 떠오르는 리더로 주목 받고 있습니다. 업스테이지의 창립멤버이자, 기술총책임을 맡고 있습니다.
김형준 대표
스퀴즈비츠
3회차 Part1.
“AI 경량화에 도전합니다”
ChatGPT의 등장 이후로 AI 업계는 크게 두 맥락에서 변화를 맞이했습니다. 첫 번째로 AI 모델의 크기가 기하급수적으로 커지게 되었고, 둘째로 굉장히 빠른 속도로 새로운 모델들이 등장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런 초거대 AI와 그 서비스들이 안정적으로 자리 잡기 위해서는, 반드시 경량화를 통한 비용 최적화가 이루어져야 합니다. 초거대 AI를 경량화하는 방법과 AI 서비스를 유지하기 위해 투입되는 비용을 절감하는 방법, 그리고 앞으로 초거대 AI가 나아가게 될 방향 등에 관해 이야기합니다.
김형준 대표는, 포스텍 창의IT융합 공학박사이자, 지난 7년간 AI 경량화 분야에 대해 연구를 해온 스퀴즈비츠의 창업자이자 대표입니다.
윤성호 대표
마키나락스
3회차 Part2.
작은 스타트업의 AI비즈니스 생존전략
날로 커지는 시장의 크기 만큼이나,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는 AI 비즈니스 시장에서 스타트업은 어떤 차별화 전략을 통해 생존하고 또 성장할 수 있을까요? 한국의 작은 스타트업에서 시작해 CB인사이트가 발표한 ‘2023 세계 100대 AI 기업’이 되기까지, 마키나락스의 성장 전략에 대해 들어봅니다.
윤성호 대표는, 마키나락스 CEO 겸 창업자이며MIT 물리학 박사로. 도메인의 특성을 적극 활용한 고슴도치 컨셉(Hedgehog Concept)전략으로 마키나락스를 세계가 주목하는 AI 기업으로 성장시켰습니다.
정지훈 박사
K2G 테크펀드
4회차 Part1.
해외 VC의 주목을 받는 AI기업들의 특징
해외에서 AI 관련 수 많은 스타트업이 등장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업 중 눈여겨볼 만한 기업은 어디이며, 이들은 어떠한 비즈니스 모델을 갖고 있을까요? 그리고 이러한 기업에는 누가, 어떠한 관점으로, 얼마나 많은 돈을 투자하고 있을까요?
정지훈 박사는, 루닛, LOVO, 크라우드웍스, 휴레이포지티브 등 대표적인 AI 스타트업의 엔젤투자자이자 빅뱅엔젤스, 디지털헬스케어파트너스, K2G 테크펀드 등 여러 스타트업 엑셀러레이터와 크로스보더 딥테크 투자펀드를 공동창업하기도 한, 국내를 대표하는 미래 전략가이자 IT융합 전문가입니다.
전상배 CSO
가우디오랩
4회차 Part2.
AI가 만든 소리의 세계
소리영역에서 AI를 활용하는 기술들은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에 대해 소개하고, 그중 현재 가장 대표적인, 구글의 음악 생성 모델 MusicLM과 국내 스타트업 가우디오랩의 효과음 생성 모델인 FALL-E의 메커니즘을 비교 소개합니다.
전상배 CSO는, 서울대학교 음향공학박사이자 약 20년 경력의 오디오 기술 연구자입니다. 삼성전자 DMC연구소(현 삼성리서치)에서 책임 및 수석 연구원으로 재직하며 입체 음향 표준인 MPEG-H 3D Audio의 표준기술을 개발해, 표준 IP 확보에 기여하였을 뿐만 아니라 스마트폰, TV, 사운드바, 홈시어터 등의 삼성전자 제품 차별화 IP를 다수 개발하였습니다. 현재는 가우디오랩에서 연구를 총괄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