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 만드는 법: 악기(하드웨어)→소프트웨어→인공지능

컬러 팔레트 아님

인공지능 시대에는 하나의 악기가 무한한 소리를 낸다. 구글이 이 악기의 제작법을 모두 오픈 소스로 풀었다.

음악을 만드는 법은 소리를 만드는 것과, 이것을 기록으로 남기는 두 가지 방법론을 모두 포함한다.

악기의 경우 인류 역사상 가장 위대한 발명품, 기타와 피아노가 주로 작곡의 도구로 사용됐다. 그다음 세대는 컴퓨터였다. 컴퓨터는 악기 소리를 디지털화해 연주와 기록을 동시에 할 수 있는 도구다. 악보를 GUI화한 소프트웨어는 즉, 악기인 동시에 악보인 셈이다. 소리가 디지털화된 이후에는 시퀀서라고 부르는, 소리를 디지털화해주는 기기를 악기에 붙여쓰기도 했다. 시퀀서는 이름은 생소하지만 흔한 소프트웨어다. 맥북, 아이폰, 아이패드에서 무료로 설치할 수 있는 ‘개러지밴드(Garage Band)’가 시퀀서다. 별도의 케이블만 있으면 기타 소리를 쉽게 디지털화할 수 있다. 안드로이드에서는 ‘레코딩 스튜디오’ 등의 앱을 사용하면 된다.

앰플리파이어, 시퀀서 역할을 모두 할 수 있는 개러지 밴드

이제 악기 연주도 다른 시기에 접어든다. 구글이 공개한 ‘Nsynth Super’에 의해서다. 엔신스는 구글이 인공지능으로 예술가들을 돕는 프로젝트 ‘마젠타(Magenta)’의 결과물이다. 외형은 디지털화한 컬러 팔레트 도구와, DJ들이 쓰는 터치패드를 합쳐놓은 것 같은 모습이다. 사용법도 컬러 팔레트처럼 색 중간 어딘가를 눌러가며 사용한다.

이렇게 정답게 사용한다

중간값이 거의 무한한 컬러 팔레트처럼, 이 인공지능 기기는 ‘소리의 중간값’을 찾는다. 즉, 미리 입력된 1천여 악기의 소리와, 30여만 가지 음을 기계 학습 후 수치화해서 갖고 있다가, 다양한 악기 소리의 중간값을 터치하는 순간, 수학적으로 복잡하게 연산된 결과물들을 소리로 내놓는 것이다. 즉, 이 소리는 현재 세상에 있는 악기들로 연주할 수 없는 소리이며, 디지털화한 악기 소리의 단순 변조로도 만들 수 없는 것들이다.

YouTube video

마젠타 프로젝트팀은 블로그에서 하프와 글라리넷의 중간 정도 소리를 예로 들었다. 인공신경망을 활용하므로 두 악기의 중간값을 찾는 것은 어렵지 않다. 더 나아가,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가 견딜 수 있을 만큼의) 무한한 수의 악기의 무한한 정도의 중간값을 만들어낼 수 있다. 즉, 인공지능으로 무한한 소리의 악기를 순식간에 만들어낼 수 있다는 것이다. 이 말은 곧 예술가에게도 무한한 가능성을 주는 것과 같다. 다만 정해진 것이 없다는 과정에서 오는 스트레스 역시 무한대로 늘어날 것이지만.

YouTube video

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는 기존의 디지털 이펙터와 마찬가지로 키보드, 리듬 박스, 컴퓨터와 함께 연결해 사용한다. 대신 음정과 박자를 모두 활용할 수 있는 기기이므로, 리듬 박스(드럼 박자를 찍는 기기)로도 음을, 키보드로도 박자를 입력할 수 있다. 물론 음과 박자를 모두 갖고 있는 소리겠지만.

이 제품을 예술가들이 갖고 있다면, 예술가들은 더 많은 신기한 소리를 만들어낼 것이고, 이는 머신러닝의 또 다른 데이터가 될 것이다. 해당 제품에 소리를 전송할 수 있는 코드가 있는지는 확인되지 않았으나 구글은 이 소리를 쉽게 수집할 수 있다. 유튜브를 갖고 있으니까.

원리는 소리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기계 학습을 거쳐 새로운 소리를 생성하는 것

오픈 소스의 리더인 구글은 이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를 판매하거나 제작 및 증정하지 않고, 제작법을 깃헙에 공개했다. 코드뿐 아니라 하드웨어 제작법까지 모두. 자 그럼 하드웨어 제작법도 알아보자. 

  1. 케이스 제작을 위해 레이저 커팅을 하자(Laser cut the shell).

그만 알아보자.

글. 바이라인네트워크

<이종철 기자> jude@byline.network

관련 글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