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심재석의 입장] 구글지도 반출 논란, 이젠 해법을 찾자

art_1465834335구글 지도 반출 요청 논란이 점입가경입니다. 처음에는 지도 반출로 안보 문제가 있는지 없는지가 문제였는데 이제는 탈세, 규제 회피 등으로 쟁점이 확대됐습니다.

문제는 논란이 확산만 될 뿐 논점이 좁혀지는 기미가 없다는 점입니다. 지도 반출 승인 여부를 두고 찬성과 반대 입장에서 각자의 주장을 반복할 뿐, 합의점을 찾기 위한 시도는 별로 눈에 보이지 않습니다.

지난 8일 국회에서 열린 구글 지도 반출 토론회가 딱 그런 모습이었습니다. 구글 본사에서 지도 담당자가 직접 와서 국내 관련자들과 마주앉았습니다. 심도 있는 얘기를 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된 셈입니다.

하지만 이 자리는 서로의 불편한 감정만 노출하는 배설의 장이 됐습니다. 구글의 지도 담당자는 “피해자 코스프레”라는 다소 모욕적인 발언으로 국내 업계 관계자들의 감정을 자극했고, 국내 업계 관계자들은 “식민지”를 운운하며 구글 담당자가 죄인인 것처럼 다그치기만 했습니다.

상대의 주장이 어디까지 사실이고 오해가 있는 것은 무엇인지, 서로 양보 가능한 것은 무엇인지 차분히 얘기하려는 모습은 보이지 않았습니다.

“나는 옳고 너는 틀렸다”는 자세에서 한 발도 움직이지 않음으로써, 서로에게 앙금만 쌓인 토론회였다고 느껴집니다.

hand-977429_960_720그러면 정말 구글 지도 논란에는 해법이 없을까요? 저는 그렇지 않다고 봅니다.

구글로서는 한국의 정부와 관련업계가 제기하는 의혹을 해소하면서 지도 서비스를 할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정부와 업계도 탈세와 규제회피 등의 우려를 해소하면서 구글이 한국에서 제대로 된 서비스를 할 수 있도록 양보할 수 있습니다.

어렵지 않습니다. 사실 양측의 입장을 귀기울이면 합의점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상대의 주장을 듣지 않고 자기 얘기만 하니까 논란이 커지기만 할 뿐입니다.

우선 업계와 정부는 구글이 한국에 지도 서버를 두면 문제를 간단히 해결할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구글이 서버를 두면 확실하게 고정사업장이 되니 법인세 의혹에서 벗어날 수 있고, 개인정보법 등의 규제를 받게 됩니다.

반면 구글은 법인세를 안 내기 위해서, 규제를 회피하기 위해서 서버를 두지 않는 것이 아니라고 주장합니다. 지도 서비스는 클라우드 플랫폼을 이용하기 때문에 데이터가 전 세계에 분산 저장돼 기술적으로 한국에만 서버를 두기 어렵다는 것이 구글의 주장입니다. 설사 한국에 서버를 둔다고 해도, 데이터는 해외에 복제 돼야 하기 때문에 지도 반출은 필요하다는 입장입니다.

정부와 업계는 세금과 규제를 이야기하고, 구글은 기술을 이야기합니다. 여기가 엇갈리는 지점입니다.

1 (1)이렇게 하면 어떨까요? 구글은 일단 지도 서버를 한국에 만듭니다. 서버를 둠으로써 고정사업장이 되고, 규제의 대상이 됩니다. 정부와 업계의 우려를 해소하는 것이죠.

대신 정부는 지도 반출을 허용합니다. 서버를 두더라도 데이터반출은 필요하다는 구글의 주장을 수용하는 것입니다.

즉 서버는 서버대로 만들고, 데이터 반출은 그것대로 허가하자는 제안입니다. 서로가 원하는 것을 얻을 수 있습니다.

혹시 구글이 지도 서비스의 클라우드 아키텍처를 바꿔야 해서 기술적으로 일이 너무 커진다면, 한국에 두는 서버를 지도  서비스의 운영 서버가 아닌 백업 서버로 두면 어떨까요? 데이터의 실시간 동기화가 된다면 굳이 한국에 있는 서버가 운영서버가 될 필요는 없을 것입니다.

제가 법률 전문가도 기술 전문가도 아니기 때문에 이 제안이 해결책이 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찬반의 목소리만 높이는 논의는 이제 멈춰야 합니다. 이제는 합의점을 찾을 시간입니다. 각자 생각하는 합의점을 제안해 봐야 합니다.

만약 이렇게 찬반 목소리만 높이다가 8월 25일이 되고, 아무일도 없었다는 듯이 과거로 돌아가면 가장 큰 피해를 보는 것은 한국의 이용자들과 스타트업 창업자들입니다. 포켓몬 고처럼 구글 지도를 기반으로 한 글로벌 혁신 서비스는 여전히 한국에 들어오기 어려울 것이고, 이는 한국의 혁신 동력을 갉아먹게 될 것입니다.

글. 바이라인네트워크
<심재석 기자>shimsky@byline.network

※이 기사는 동아사이언스와의 제휴에 의해 작성됐습니다.

관련 글

첫 댓글

  1. 솔직히 구글의 주장이 좀 옹색해보입니다. 사실 외국에서 한국 지도를 검색해 볼 일이 얼마나 있을지… 설사 있다고 하더라도 지금 이미 서비스하는 정도면 크게 어려움이 없어보입니다. 설마하니 영국에서 한국까지 네비키고 오겠습니까. 클라우드 기술 이야기도 한국내에 서비스할 서버와 백업할 서버를 두던가 아님 한국에 자체 클라우드 시스템을 구축하면됩니다. 한국에 서비스할건데 당연히 투자를 해야지요. MS등의 다른 기업은 한국 법에 맞추어 투자해서 사업하는데 구글만 예외로 해주면 형평성에 어긋나죠. 그리고 이미 세금문제로 구글이 찍힌 마당에 이 부분을 투명하게 밝히지 않는이상 모든 구글 사업에 도끼눈을 뜨고 볼것 같네요. 또한 데이터는 한번 유출이 되면 통제할 방안이 없습니다. 그러니 데이터를 넘겨주더라도 모든 안전 장치를 마련한 후에 주는게 좋지요.

    두번째로, 구글은 한국 세금으로 만든 지도 정보를 가지고 많은것 할 수 있습니다. 좋게는 무인 자동차가 시내를 누비고 내가 좋아하는 커피를 제고하는 가게에 안내를 해줍니다. 악하게는 개인의 정치, 소비 성향등을 지리적으로 분석해서 이곳에서는 이렇게, 저곳에서는 저렇게 해서 구글에게 유리한 정책을 펼치겠지요. 궁극적으로 한국인에게 구글의 좋은 인상(세뇌)을 남기고 한국 정책도 조절이 가능해질 것입니다. 그런데도 한국은 구글으로부터 어떠한 이득을 받을지 보장을 받으수 없습니다. 결국 한국 세금으로 구글만 살찌워주는 것이지요.

    그리고 스타업 문제로 많이 포케몬 고를 이야기를 하는데, 사실 거기에 들어가는 기술 자체는 별거 없습니다. 이미 우리나라에서도 이에 해당하는 기술이 여러번 등장했었습니다. 다만 포켓몬이라는 IP가 포켓몬 고를 대단하게 만들어준것이죠. 지금 여론이 마치 구글만이 우리에게 혁신을 제공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듯합니다. 그런데 정말로 구글만이 우리에게 혁신을 주고, 스타트업을 장려하고, 새로운 성장 동력을 제공하는 것인가 라고 생각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우버가 괜히 5억불을 투자해서 별도의 지도 서비스를 구축하려고 하는건 아니죠.

    최근 인도에서는 페이스북에서 제공하는 무료 인터넷을 거절했습니다. 이것도 우리에게 시사하는 점이 많겠지요.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