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재석의 입장] 클라우드 컴퓨팅, 유토피아? 디스토피아?

이름 없음지난 2003년 5월 하버드 비즈니스 리뷰(HBR)에 ‘IT는 더 이상 중요하지 않다(IT Doesn’t Matter)’는 논문이 실렸다. 이 잡지의 전 편집장이었던 IT 칼럼니스트 니콜라스 카의 글이었다. 카는 이 논문에서 “IT의 개발능력과ᅠ보편성이 증가함에 따라 IT의 전략적인 중요성은 감소하게 된다. IT는 장기적으로 기업의 비용이 될 뿐 경쟁우위를 제공하지 못한다”고 주장했다. 즉 일반 기업들은 IT에 대한 투자를 최소화해야 한다는 조언을 한 것이다.

카 전 편집장은 IT가 전기와 같은 운명이 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예를 들어 산업혁명 초기, 전기를 잘 활용하는 기업은 그렇지 못한 기업보다 경쟁우위에 설 수 있었다. 하지만 현대에 전기활용을 중요한 역량으로 생각하는 기업은 없다. 전기는 꼭 필요하지만 전기활용법이 기업의 경쟁력을 향상시키지는 못하기 때문이다. 현대 기업에 전기는 필수불가결한 ‘비용’일 뿐이다. 카 전 편집장은 IT도 마찬가지로 기업 활동에 꼭 필요한 요소이지만, 경쟁우위전략이 아닌 비용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저명한 비즈니스 잡지에 ‘기업들이 IT투자를 줄여야 한다’는 내용의 논문이 실리자 IT 업계는 발칵 뒤집혔다. 빌 게이츠 마이크로소프트을 비롯해 IT 기업 CEO들의 반론이 이어졌다.ᅠ기업용 IT 업계에서 ‘니콜라스 카’라는 이름은 공공의 적이 됐다.

그 이후 십여년이 흐른 현재 카 전 편집장의 전망은 얼마나 현실화 됐을까? 카 전 편집장의 전망이 100% 들어맞지는 않았다. IT는 지금도 어느정도 기업의 경쟁우위 전략으로 자리매김 하고 있다.

하지만 카 전 편집장의 전망이 100% 틀린 것은 아니다. 실제로 기업들에게 IT는 유틸리티 서비스가 돼가고 있으며, 이런 추세가 계속 확장되면 기업에 있어 IT는 전기와 같은 비용이 될 지도 모른다.

이런 추세를 이끌고 있는 것은 클라우드 컴퓨팅이다. 요즘 새롭게 등장하는 스트타업 기업들은 대부분 자체적인 IT시스템을 구축하지 않는다. 아마존웹서비스(AWS)나 마이크로소프트 애저, 구글 클라우드 서비스에 접속해 카드정보를 입력하는 것만으로 IT인프라가 완성된다.

기존 기업들은 전산 시스템을 마련하기 위해 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소프트웨어를 직접 구매했다. 기업 내에 전산실을 운영해 직원을 직접 고용하거나 아웃소싱을 통해 전산시스템을 운영했다.

하지만 요즘 신생 기업들은 전산실도 없고 전산 담당자도 없는 곳이 많다. 기업에 전기운영부가 없는 것과 마찬가지 이유다. 전기 스위치를 올리면 전기를 사용하듯, 클라우드 컴퓨팅 스위치를 올리면 IT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는 상황에서 전담부서는 불필요해졌다.

이같은 흐름이 기업용 IT산업에는 어떤 영향을 미칠까? 문제는 IT가 인터넷 기반의 유틸리티 서비스가 되면, 승자독식 구조가 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다.

일반적으로 인터넷 서비스는 2~3개의 업체가 시장의 거의 전부를 가져간다. 서비스를 선택할 때 지역적 제약이 거의 없기 때문이다. 컴퓨터 앞에 앉아 클릭 몇 번만 하면 가장 좋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1등이 시장의 대부분을 가져간다. 예를 들어 검색의 경우 세계적으로는 구글, 국내에서는 네이버가 독식하고 있고, 그나마 지역장벽이 존재하는 e커머스마저도 아마존, 이베이, 알리바바 등 몇몇 업체들이 전세계 시장을 쥐락펴락 하고 있다.

최근 아마존웹서비스(AWS)가 국내에 리전을 설립한다고 발표했다. AWS 리전이 설립된다는 것은 아마존이 국내에 데이터센터를 두 개 이상 만든다는 의미다. 즉 AWS 한국 시장 공략에 본격 나섰고, 그나마 국내 클라우드 업체가 내세웠던 AWS의 단점이었던 속도 문제마저 없어진다는 것이다.

현재 AWS의 국내고객사는 1만 개 정도인 것으로 추산된다. 전 세계 AWS는 약 100만 개다. 국내 고객의 비중은 1%인 셈이다. 국내 기업 IT 시장이 전 세계 시장의 1% 정도라는 점에서 볼 때 추세에 맞는 수치다.

하지만 AWS는 아직 한국 시장에 본격적으로 나서지 않았다. 앞으로 리전이 설립되고 작은 장벽마저 사라진다면 AWS 이용기업은 더욱 늘어날 가능성이 높다. 국내 IT업체들이 AWS 공습에서 살아남을 수 있을까 의심스러운 대목이다.

국내 시장과 정부는 클라우드 컴퓨팅에 대한 막연한 환상이 있는 듯하다. 미래부-행자부는 최근 클라우드 발전법을 만들고, 2018년까지 국내 클라우드 회사를 800개까지 늘려가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과연 국내 클라우드 업체들은 AWS, 마이크로소프트, 구글의 공습에도 불구하고 기대처럼 성장할 수 있을까? 앞서 언급했듯 인터넷 기반의 유틸리티 서비스 시장은 1~2등이 시장의 거의 전부를 가져가는 특징이 있는데도 말이다.

어쩌면 클라우드 컴퓨팅은 국내 IT 업계의 ‘디스토피아’인지도 모른다.

<심재석 기자> shimsky@byline.network

관련 글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